"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구제역 백신 무침 도입 시급한 이유

작성일 2025-08-07 작성자 관리자

100

구제역 백신 무침 도입 시급한 이유
19년 이후 이상육 목심서 둔부로 이동
목심 14.7→2.6%, 둔부 15.1→27.9%
둔부서 주사침 잔류 색출 문제 대두
무침 피내 도입 통해 논란 해소해야



구제역 백신 접종 부작용으로 인한 돼지 이상육 발생 부위가 목심에서 뒷다리로 이동하고 있다. 이는 구제역 백신 접종 부위가 2019년 이후 목 부위에서 둔부로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매년 주사침이 검출되고 있어, 향후 한돈 안전성에 걸림돌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한돈업계는 구제역 이상육 및 주사침 검출 최소화를 위해 구제역 피내 접종 허용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돼지고기를 가공하는 한 대형 유통업체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출하 돼지를 대상으로 이상육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목심 부위 이상육 발생량은 19년 14.7%에서 24년 2.6%대까지 줄었으나 뒷다리 부위 발생량은 15.1%에서 27.9%대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9년 이후 구제역 백신 접종 부위가 목 부위에서 둔부로도 확대되면서, 농가들이 돼지 목 대신 둔부로 백신 접종 부위를 변경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는 무엇보다 목심이 뒷다리보다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목심 가격과 뒷다리 가격 단가는 거의 4배 차이가 나므로, 목심에 이상육 발생 시 농가 손실이 크다. 이에 매년 목심 이상육 발생이 감소함에 따라 목심 이상육 손실액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후지 이상육 발생률이 목심 대비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총 손실 금액은 후지 정육 단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문제는 목심에서 이상육 발생이 줄어든 반면, 주사침이 둔부 내에 색출될 수 있는 단점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이 업체에 따르면 매년 10여건의 주사침 잔류가 확인되고 있다. 만일 주사침이 1차 육가공업체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2차 육가공업체에서 발견되는 경우, 그리고 대형유통 거래처에서 소비자가 발견하게 된다면 삼겹살 비계 이슈 만큼 한돈 안전성에 크게 위협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한돈업계는 이상육 감소 및 주사침에 대한 논란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무침을 이용한 피내 접종 허용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무침 주사를 통한 각종 백신 피내 접종의 경우 이상육 피해가 경감될 수 있고, 특히 주사침 발견 논란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 그러나 현재 피내 접종용 무침 주사기는 개발‧보급되고 있으나 피내 접종용 백신은 26년말 이후에야 시험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에 업계는 백신 피내 접종은 한돈산업 피해 방지는 물론, 소비자 신뢰를 위한 일이다며 정부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력 주장하고 있다.





출처 : 양돈타임스(http://www.pigtimes.co.kr)
구제역 백신 무침 도입 시급한 이유 - 양돈타임스

목록
다음게시물 농식품부 “축산물유통법 우리 손 떠났다”
이전게시물 연암대 스마트축산계열 신입생 모집… 9월 8일 접수 시작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