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나명환 교수팀, ‘양돈 스마트 개체관리 시스템’ 개발 나선다

작성일 2025-07-02 작성자 관리자

100

# 스마트팜 다부처 기술개발 과제 선정… 축산농가 실질적 도움 기대

# "농가 수익 향상 위한 빅데이터 수집·활용 및 정교한 분석 중요"



전남대학교 통계학과 나명환 교수 연구팀이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해 축산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양돈 스마트 개체관리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지난 6월 29일 전남대에 따르면, 나 교수 연구팀은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농촌진흥청이 공동 주관하는 ‘스마트팜 다부처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에 선정돼 ‘생성형 AI를 활용한 양돈 스마트 개체관리 시스템 상용화’ 과제를 수행하게 됐다.

이번 다부처 사업은 농업의 지속 가능성과 스마트팜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2세대 스마트팜의 현장 실증 및 고도화, 차세대 융합·원천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하는 국가 전략 사업이다.

나 교수 연구팀은 그동안 축산업, 농업, 수산업 분야를 아우르며, 빅데이터 처리·영상 분석 기법과 통계적 모형을 활용해 △시설작물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 △양파·마늘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농업 선도모델 구축 △돼지, 한우, 젖소 등 주요 축종의 생장 예측 모델 개발 등 다양한 성과를 축적해 왔다.

이번 과제에서는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양돈 맞춤형 컨설팅 및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게 된다.

개발 중인 ‘양돈 스마트 개체관리 시스템’은 △농장주 등 생산자에게는 환경, 사양, 도축 등 사양관리 정보와 질병 경고 △질병관리·통제기관에는 백신 접종 일정, 질병 예측, 검역·방역 정보 △가공·유통·소비자 그룹에는 축산물의 생산 이력과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 정보 시스템으로 축산 현장의 디지털 전환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명환 교수는 “축산업에서 생산성과 육질을 동시에 향상시켜 농가의 수익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빅데이터의 수집·활용과 정교한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축종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생성형 AI를 활용한 스마트 개체관리 시스템을 사업화·상용화함으로써 많은 축산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과제는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축산연구소를 비롯해 (주)아이온텍, (주)핑, (주)엑스알에이아이 등과 공동연구팀을 구성해 수행되며, 향후 2년 9개월 동안 총 14억원의 연구개발비가 지원될 예정이다.



출처 : 한돈뉴스(http://www.pignpork.com)
http://www.pignpork.com/news/articleView.html?idxno=15652

목록
다음게시물 깜깜이 할당관세, 효과 없이 세수만 축내
이전게시물 [월요칼럼] 야생멧돼지에 위협받는 양돈장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