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환경과 수익성 개선, 사료요구율 개량, 그런데 ...

작성일 2025-05-08 작성자 관리자

100

이일주 박사
(주)다비육종 SP센터



돼지의 사료요구율 개량으로 유전적인 측면에서 사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농장 운영비의 대부분인 사료비를 줄일 수 있다. 또 최근 사료요구율이 환경 부하를 줄인다는 것과 같이 언급되는데, 이번 <전문가의 시선>에서는 우리나라 양돈 환경에서 사료요구율의 개선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언급하고자 한다.


■  등급제와 등지방 두께, 그리고 사료요구율
우리나라의 돼지 등급제는 상대적으로 상당한 지방을 요구하고 있다. 1+ 등급에서 최적점은 도체중 88kg에서 21mm의 등지방 두께를 요구한다.

수입된 종돈은 등지방이 얇아 당대로는 적당한 지방 두께를 맞추기 어려워 지방이 두꺼운 개체를 선발하기도 한다. 정육량을 위해 해외에서 지방이 얇게 개량된 유전자를 도입하며 한국시장에 맞게 등지방을 두껍게 개량을 시도하는 곳도 있다.

이는 고기 맛에 민감한 동북아시아 국가들, 특히 삼겹살을 중시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중요한 특성으로 생각한다. 여러 보고에 의하면, 사료요구율과 등지방 두께는 0.3~0.4(Saintilan R 등, 2013)의 상관을 나타낸다. 이는 사료요구율이 불량해야 등지방이 두꺼워진다는 의미이다.


■  지방과 살코기의 에너지 가치
비슷한 얘기로 지방과 살코기는 각각 다른 에너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지방은 수분이 낮은 반면에 단백질은 수분이 높아 5배의 에너지 차이를 내게 된다. 사료 1kg으로 고기량을 높이는 것은 지방에 비해 사료요구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고기맛이 상대적으로 덜한 게 일반적이다.


■  가공(펠렛) 사료의 장단점
육종이 아닌 사료 분야에서는 사료요구율을 높이기 위해 가공(펠렛) 사료가 최근 언급되고 있다. 가공(펠렛) 사료는 돼지의 성장률과 사료요구율을 높이는 데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펠렛 사료는 가루, 소화 문제 등의 단점 이외에 가루 사료에 비해 지방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verholt 등, 2016). 이에 고기의 품질에 영향이 큰 우리나라에서는 이 부분을 관심있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사료요구율 표준화의 필요성
사료요구율은 돼지의 성장단계별로 다르다. 적은 체중에서는 낮게 나타나고, 높은 체중에서는 높게 나타난다. 낮은 체중에서 사료요구율을 측정한 후 이 돼지의 사료요구율이 우수하다고 하면 누가 믿을 수 있을까? 즉, 개체별 사료요구율을 구하는 데 있어 돼지마다 측정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표준화해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공식적으로 이를 표준화하는 방법은 아직 없고, 미국 캔자스주립대학교 관련 홈페이지, Aubry 등(2004)에서 표준화를 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어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우리나라도 돼지의 인공수정용 종모돈 기준에 사료요구율이 대상형질로 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RFI(Residual feed intake)의 접근
사료요구율은 중도 이상의 유전력을 가지고, 다른 형질(성장, 등지방 두께 등)과의 상관이 큰 형질이다. 개량에서는 이를 배제하기 위해 RFI(Residaul feed intake : 잔여사료 섭취량)를 구해 선발에 사용하는 게 일반적인 방법이다.

자료가 제대로 수집된다면 개량의 성과를 쉽게 볼 수 있지만 아직 자료수집에 많이 비용과 우리나라 시장상황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보니 사료요구율의 중요성이 여러 곳에서 언급되고 있다. 적게 사료를 먹으며 잘 자라는 돼지를 키우고 싶은 게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생각하는 것은 맞다.

그러나 돼지 사료요구율의 개량은 다양한 요소(등지방, 육질 등)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등지방을 쉽사리 낮추지 못하는 점, 수입돈육과 경쟁하기 위해 맛을 중요시해야 하는 점 등이 어려운 사항이다.

그러므로 국내 돈육 소비 패턴에서 사료요구율의 개량은 여러 검토가 필요하고, 사료요구율의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육성·비육구간에서 돼지를 잘 키우는 것이 기본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출처 : 한돈뉴스(http://www.pignpork.com)
환경과 수익성 개선, 사료요구율 개량, 그런데 ... < 이일주의 육종이야기 < 전문가의 시선 < 기사본문 - 한돈뉴스

목록
다음게시물 “돈가도 괜찮은데”…후보돈 입식열은 미지근?
이전게시물 세계 양돈업은 전환기에 접어들고 있다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