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돼지 거래기준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작성일 2025-05-02 작성자 관리자

100

이병석 부소장
한돈미래연구소



농가와 육가공업체가 돼지를 거래하는데 활용되는 전국 도매시장 경락 두수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부 업계에서는 도매시장 거래 두수가 계속 줄어드는 가운데 이제는 돼지가격 거래 기준으로서의 대표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돼지거래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체 도축두수 중 전국 도매시장의 돼지 경락두수 비율은 지난 2016년 6.5%에서 가장 최근인 2024년에는 약 3.6%까지 감소한 원인이 크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기존 도매시장의 역할을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 경매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축산물 유통 및 가축거래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축산물유통법)을 제정하여 전국의 일정 규모 계열화업체 등을 대상으로 현장에서의 돼지 거래가격을 보고하게 하고, 이를 공표하는 등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농가와 업계와의 직거래 등도 논의하고 있으나 돼지가격 기준에 대한 거래 주체 간의 견해 차이가 커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렇듯 대표가격에 대하여 다양한 고민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제는 더 이상 도매시장을 그대로 버려두지 말고 도매시장 활성화를 통해 돼지가격 거래지표로서의 그 기능을 충실히 감당할 수 있도록 거래 주체들의 다양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짐에 따라 도매시장에 대한 근간을 다시 한 번 짚어보고 활성화할 방안이 무엇인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도매시장이 건전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시장에 적정 수준의 거래물량이 유지되고 될 수 있는 대로 다수의 시장 관계(생산·소비)자가 참여하며, 시장 가격 결정의 투명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가격 결정 투명성을 위해서는 도매시장의 기능이 필요하다고 보았을 때 현행 도매시장의 거래 주체인 생산자와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시장에 참가한다면 건전한 도매시장이 활성화되고 산업이 안정적으로 유지·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다면 건전한 도매시장을 활성화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안정적인 돼지를 거래할 수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

도매시장 활성화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가진 관계자들도 있을 수 있으나 국내 한돈산업이 산업 구성원 간 거래로 인한 갈등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거래를 통해 장기적인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도매시장이 돼지거래를 위한 대표 가격지표의 역할을 충실히 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도매시장을 현재보다 더 활성화하기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로 도매시장 자체의 역할 강화이다. 도매시장은 농수산물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고 적정한 가격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생산자와 소비자의 이익을 보호하는 역할(농안법 제1조)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므로 돼지 이용도축 물량 중 일정 물량을 경매로 진행하는 등 경매물량 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과 함께 정가·수의매매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 시행 등을 통한 노력을 더 해줄 것을 당부한다.

두 번째로 정부는 도매시장의 공적 기능 강화를 위한 축산물 도매시장 평가사업 실시 등과 인센티브 제도를 마련하여 도매시장이 자체적으로 경매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는 이미 청과 등에서 상용화하고 있는 온라인 도매시장에 축산물이 상장되어 정가·수의매매 등을 통한 거래가 활성화되도록 유도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조합·육가공업체 등이 우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시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양돈산업은 자급률이 약 70%에 머물러 있어 다양한 외국 돼지고기들이 수입되고 있다. 해외의 돼지고기 수출국들은 저마다의 경쟁력을 앞세워 국내 돼지고기 소비시장을 넓혀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 돼지고기 생산기반이 흔들리면 외국산 돼지고기의 국내 시장 잠식은 불을 보듯 뻔하다.

국내의 한돈 농가들이 안정적으로 돼지를 생산하고 투명하게 거래할 수 있는 도매시장에서의 거래체계가 잘 작동한다면 한돈 생산기반은 더욱 공고히 유지될 수 있으며, 국내 소비자들에게 위생적이고 안정적인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국내 한돈산업이 그 자리를 꿋꿋이 지킬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한돈뉴스(http://www.pignpork.com)
돼지 거래기준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 이병석의 미래 이슈 선점하기 < 전문가의 시선 < 기사본문 - 한돈뉴스

목록
다음게시물 축단협, 대선 겨냥 정책 제안
이전게시물 돈가 4월도 올랐지만...상승세 앞으로도 이어질까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