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액상 정액 관리는 기승전 '온도'

작성일 2021-11-25 작성자 관리자

100

액상 정액 관리는 기승전 '온도'
 
채취부터 희석, 보관, 사용까지 매 적정 온도 유지 필수...임신율과 자돈수에 큰 영향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이 최근 기온이 내려가는 시기를 맞아 돼지 인공수정용 액상 정액의 온도 관리에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정액의 품질은 임신율(수태율)과 자돈수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액상 정액의 품질은 관리 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신경 써야 합니다.
 
정액의 온도 관리는 채취부터 시작합니다. 먼저 정액 채취실의 온도가 25()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청결하게 관리합니다.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한 충격을 줄이기 위해 정액 채취병은 3940도를 유지합니다. 희석액은 미리 3435도로 맞춰놓은 후 희석해야 하며, 34회에 걸쳐 천천히 섞는 것이 좋습니다.
 
정액을 채취한 뒤 희석한 액상 정액은 온도가 높기 때문에 보온상자(스티로폼 박스 등)에 넣어 전용 보관고에서 천천히 온도가 내려가도록 합니다.

 정액보관고@농촌진흥청

인공수정용 액상 정액의 보관의 경우 온도는 1718도가 알맞습니다.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용 보관고에 보관합니다. 온도가 15도 이하로 내려가면 정자 운동성과 생존율이 떨어지며, 20도 이상에서는 정자의 에너지가 소모되고 노화가 진행돼 보존 기간이 단축됩니다.
 
적정 보관 온도인 17도에 정자를 보관했을 경우에는 4일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인공수정을 위해 교배사로 옮길 때에도 보온상자에 담아 적정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조규호 양돈과장은 액상 정액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급격한 온도 변화를 방지하고, 채취부터 인공수정 전까지 적정 온도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출처: 돼지와사람 2021. 11. 24.]

목록
다음게시물 국내 농장 5곳 가운데 2곳 돼지인플루엔자 감염
이전게시물 농촌 동력 축산 위상 ‘굳건’...질병·냄새와의 전쟁, 수입 공세·코로나 한파 등 ‘악전고투’에도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