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한돈, 가정 소비도 위험하다

작성일 2021-09-27 작성자 관리자

100

한돈, 가정 소비도 위험하다
 
코로나로 돈육 구매량 늘었지만
한돈(9%)보다 수입산(30%)
삼겹 급등 속 냉장 수입 48% 급증
 
돼지고기의 가정 소비 증가가 곧 한돈 소비 증가라는 그동안의 공식이 깨질지도 모르겠다. 한돈 점유율이 절대적이던 가정 내 소비 시장에 수입 돼지고기가 빠르게 영역을 넓히고 있어서다.
 
최근 농촌경제연구원은 9월 양돈관측을 통해 가정 내 돼지고기 소비량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621~718일까지 가구당 평균 돼지고기 구매량은 한돈 1.88, 수입산 1.75으로 일년전과 견주면 한돈은 8.7%, 수입산은 30.6%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난해보다 더 강화되면서 가정 내 돼지고기 소비가 증가한 가운데 한돈에 비해 수입산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며 가정 내 소비 증가의 수혜는 되레 수입산 돈육에 더 컸던 셈이다.
 
더욱이 농경연 양돈관측을 통해 발표된 가정 내 돼지고기 소비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추세가 더 뚜렷해지고 있다. 즉 지난해 720~1011일을 기준으로 한 조사 결과를 보면 한돈과 수입산은 각각 3.96, 2.03으로 일년전(3.4, 1.97)과 견줘 각각 16.5%, 3% 늘어 코로나 상황이 한돈의 가정 소비를 늘리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바 있다. 그런데 올 14~31일 기준 조사 결과를 보면 한돈과 수입산 구매량은 각각 2.03, 수입산은 1.6으로 전년 대비 모두 10.3%씩 증가한데 이어 올 329~425일 기준 조사(한돈 2.04, 수입산 1.52)에서는 한돈이 일년전보다 5.7% 증가한데 비해 수입산은 11.8% 늘었다. 그리고 이번(621~718) 조사에서는 수입산 증가폭이 월등히 높았던 것이다.
 
특히 이로 인해 전체 돼지고기 구매량 가운데 수입산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720~1011) 조사에서는 수입산 비중(전체 5.992.03)34%를 차지했지만 올 초(14~31)에는 전체(3.63) 구매량 중 수입산(1.6)44%, 또 이번 조사에서는 수입산(1.75) 비중이 48%로 늘었다. 이처럼 가정 내 소비에서 수입산 비중이 빠르게 증가한 것은 한돈 소비자 가격, 특히 가정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삼겹살 가격이 고가를 형성해온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올해 유독 냉장 돈육 수입량이 급증(8월말 17천톤, 전년비 48%)한 것을 볼 때 가정 내 수입육 소비 증가를 입증해주고 있다.
 
가정 소비는 그동안 한돈이 점유율 우위를 점하는 시장이지만 지금과 같은 추세대로라면 그 지위도 위협받을 수 있다. 때문에 시장 상황 변화를 주시하면서 수입산과 차별화되는 한돈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발굴, 홍보하는 등 한돈 시장을 사수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출처 : 양돈타임스 2021. 9. 17.]
 

목록
다음게시물 '2021 한돈데이 랜선 페스티벌' 및 백종원과 함께하는 ‘한돈으로 마음돈돈 캠페인’ 진행
이전게시물 “양돈 현장, 외국인 인력 3천명 더 있어야”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