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한돈뉴스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ASF 권역화, 종돈 수급 불균형 초래

작성일 2021-02-18 작성자 관리자

100

ASF 권역화, 종돈 수급 불균형 초래
 
16권역 2개 권역 외 불균형
"종돈 및 정액은 이동 허요을"
종개협종돈업경영인회 건의
 
종돈업계가 정부의 ASF 권역화 정책 시행 시 종돈 및 정액 이동은 허용해 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종축개량협회와 종돈업경영인회는 최근 16개 권역별 종돈 수급 현황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권역별 종돈 수급율은 경기북부=85.3% 경기남부=44.5% 충북북부=179.4% 충북남부=115.8% 충남북부=23.1% 충남남부=96.5% 전북북부=6.6% 전북남부=237.9% 강원북부=451% 강원남부=349.1% 경북북부=241.3% 경북남부=77.7% 경남서부=98.2% 경남동부=172.1% 전남북부=383.2% 전남남부=236.7%로 나타났다. 이 같이 대다수의 권역이 모돈 갱신두수(종돈 필요두수)와 종돈장 생산 가능두수 차이로 심각한 지역별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종축개량협회 및 종돈업경영인회는 정부가 권역화 정책 확대에 따라 종돈 및 정액 이동을 제한할 경우 한돈산업은 존폐 위기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양 기관은 정부에 종돈 이동 방안을 건의했다. 우선 ASF SOP에서 종돈 및 정액을 중점방역관리지구(발생농장 3km 이내) 권역 밖에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완화할 것을 요청했다. 또한 전국을 16개 구역으로 권역화하여 이동제한을 할 경우 종돈 및 정액을 현행 권역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허용도 요구했다.
 
종돈업경영인회의 한 관계자는 "종돈장은 종축업 허가를 받아 농장별로 특별방역관리를 하고 있으며, 양돈장은 매년 40%의 후보돈을 교체 입식하므로 권역화 확대에 따라 종돈(번식용씨돼지 포함) 및 정액 이동을 제한할 경우 양돈산업은 존폐위기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돼지 방역수칙에 앞장서고 있는 종돈장과 AI센터에 종돈 및 정액의 이동에 대하여 종돈산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치하여 줄 것"을 농축산부에 요청했다.
 
[출처 : 양돈타임스 2021. 2. 16.]

목록
다음게시물 “가축방역 사전 예방적시스템 제도화”
이전게시물 양돈장 인력난에 엎치고 단속에 덮쳐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