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2020년 초지관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
|||||||||||||||||||||||||||||||||||||||||||||||||||||||||||||||||||||||||||||||||||||||||||||||||||||||||||||||||||||||||||||||||||||||||||||||||||||||||||||||||
---|---|---|---|---|---|---|---|---|---|---|---|---|---|---|---|---|---|---|---|---|---|---|---|---|---|---|---|---|---|---|---|---|---|---|---|---|---|---|---|---|---|---|---|---|---|---|---|---|---|---|---|---|---|---|---|---|---|---|---|---|---|---|---|---|---|---|---|---|---|---|---|---|---|---|---|---|---|---|---|---|---|---|---|---|---|---|---|---|---|---|---|---|---|---|---|---|---|---|---|---|---|---|---|---|---|---|---|---|---|---|---|---|---|---|---|---|---|---|---|---|---|---|---|---|---|---|---|---|---|---|---|---|---|---|---|---|---|---|---|---|---|---|---|---|---|---|---|---|---|---|---|---|---|---|---|---|---|---|---|---|---|
작성일 | 2021-02-17 | 작성자 | 관리자 | ||||||||||||||||||||||||||||||||||||||||||||||||||||||||||||||||||||||||||||||||||||||||||||||||||||||||||||||||||||||||||||||||||||||||||||||||||||||||||||||
첨부파일 | 다운로드 농식품부, 2020년 초지관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2.18, 조간).hwp | ||||||||||||||||||||||||||||||||||||||||||||||||||||||||||||||||||||||||||||||||||||||||||||||||||||||||||||||||||||||||||||||||||||||||||||||||||||||||||||||||
100 |
|||||||||||||||||||||||||||||||||||||||||||||||||||||||||||||||||||||||||||||||||||||||||||||||||||||||||||||||||||||||||||||||||||||||||||||||||||||||||||||||||
농식품부, 2020년 초지관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 전국 초지면적은 32,556ha로 전년 대비 232ha 감소 - << 주 요 내 용 >> ◈ 조사목적 : 전국 초지의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초지 이용의 효율화 도모(「초지법」 제24조*)
ㅇ 조사기간 : 매년 9월 30일 기준 연 1회 조사* 「초지법」 제24조 “시장‧군수‧구청장은 연 1회 이상 초지의 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조사하여야 한다.” ㅇ 조사기관‧방법 : 전국 지자체 담당자를 통해 현황 조사‧취합 ◈ 주요 조사결과 ㅇ (초지면적) '20년 32,556ha로 전년 대비 232ha 감소(△0.7%) - (시‧도별) 제주도가 15,676ha(48.15%)로 전국에서 가장 많으며, 강원도 5,078ha(15.6%), 충남 2,493ha(7.66%) 순으로 나타남 ㅇ (이용현황) 형태별 이용면적은 가축사육용 방목초지가 16,612ha로 전체의 51% 차지, 사료작물포(5,955ha, 18.3%), 축사 및 부대시설(827ha, 2.6%) 순이며, 미이용 초지 면적도 9,161ha(28.1%) 차지 << 세 부 내 용 >>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2월 18일 「초지법」 제24조(초지관리 실태조사)에 따라 2020년 초지관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초지’의 법적 정의(초지법 제2조제1호): 초지란 다년생개량목초의 재배에 이용되는 토지 및 사료작물재배지와 목장도로‧진입도로‧축사 및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부대시설을 위한 토지ㅇ 초지관리 실태조사는 전국 초지*의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초지 이용의 효율화 및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다. □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2020년 전국 초지면적은 전년 대비 232ha 감소한 32,556ha로 나타났으며, 초지 신규조성 면적(325ha)에 비해 초지전용‧산림 환원 등 초지에서 제외된 면적(557ha)이 더 컸던 것으로 파악됐다.
* (’95)66,301ha → (’11)38,953 → (’15)35,093 → (’19)32,788 → (’20)32,556 ② 시‧도별로는 제주도가 약 15,676ha(48.15%)로 전국에서 초지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강원도 5,078ha(15.6%), 충남도 2,493ha(7.66%), 전남도 1,946ha(5.98%) 순으로 나타났다. - 가축유전자원센터 조성으로 초지면적이 크게 늘어난 경남을 제외하고는 제주(△197), 충남(△109), 강원(△52), 경기(△46) 순으로 초지면적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전국 초지면적 증감 추이〉
- 또한, 산림 환원 및 초지 기능 상실로 인한 초지 해제 면적이 314ha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농식품부는 이번 초지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지 이용의 효율화 및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21년 3월까지 전국 초지의 28% 가량을 차지하는 미이용 초지의 상세 현황(위치, 면적 등), 이용가능성 등을 추가 조사하여 “산지생태축산 누리집(http://eco-pasture.kr)”을 통해 국민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 ㅇ 홈페이지에 공개된 미이용 초지 정보를 통해, 신규로 초지를 조성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전보다 쉽게 이용 가능 토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농식품부 정경석 축산환경자원과장은 “초지는 탄소격리능력이 우수하여 온실가스 저감에 큰 역할을 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축산업 기반조성에 매우 중요한 토지로서, 미이용 초지 정보공개, 초지를 활용한 방목축산 사업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초지 이용 활성화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1. 2. 18.]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한전 송전탑 공사 관련, 7년 전 고통에 갇힌 한 양돈농가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돼지고기 도매가 생산비 밑도는데···소비지 ‘금삼겹’ 논란 한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