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ASF 발생 이후 농장방역조치 권고사항 |
|||
---|---|---|---|
작성일 | 2019-10-10 | 작성자 | 관리자 |
첨부파일 | 다운로드 (1006)asf발생이후 농장방역조치권고사항(양돈수의사회).pdf | ||
100 |
|||
ASF 발생 이후 농장방역조치 권고사항 1. 점검해야 할 내용 가. 양성농장 살처분과정의 오염은 관리 제대로 되고 있는가? 1) 양성농장관리 가) 매몰지의 바이러스 배출여부 조사, 오염물질 소각 여부와 농장내 토양소독 여부, 소독, 살충, 구서 작업 실시 2) 바이러스 오염 의심 시설관리 가) 거점소독시설, 사료차 집결지, 차량내 발판, 발생농장 방문차량 - 가축위생시험소 출동차량, 역학조사 차량, 시청내, 농업기술센타내, 시험소 사무실안, 직원들차안, 지역내 방문자차안, 방역단내 사무실, 양성농장 초소안, 축주의 집안, 방문자들 숙소, 가지고 나왔던 물건들 등 나) 최대한 찾아내어 소각하고, 소독/건조 반복 나. 거점 소독시설에 대한 소독은 믿을 수 있는가? 1) 소독약을 뒤집어쓴 바이러스가 1시간 이내에 생존력/감염력 10%만 유지하더라도 감염이 가능하다. → 외국 논문 자료는 일반소독약으로 30분 이상 생존가능하다고 보고 있음. 2) 생축차량에 대한 거점소독소 소독을 전면중지를 요구합니다. 다. 멧돼지는 또 하나의 감염원이다. (현재까지의 상황에서 ) 라. 양성농장 찾아내기 1) 농장간 거리는 중요하지 않다. 가) 역학관련 (특히, 사료차, 분뇨차) 농장유무가 더 중요하다. 2) 역학관련농장 방문 3) 임상증상 관찰 4) 증상 있는 모돈 채혈두수를 늘리자. 5) 양성농장이라도 1회 채혈로 전두수 음성일 수 있다. 2. 차단방역 가. 외부차단 1) 농장 주변의 풀제거 작업 2) 외부인 / 외부 차량 출입 금지 가) 관리자와 통화가 된 이후에 들어오게 하라. (1) 통화한 관리자는 농장입구부터 출입절차에 의거 이행하도록 유도한다. (2) 농장 입구부터 장화를 교체하게 하라. -- 교체오염 최소화 나) 택배, 우편배달부 포함. 3) 사료차, 돈분차, 출하차량의 소독 강화 가) 최대한 시간을 늘려라. 나) 운전자에게만 소독을 맡기지 마라. 직접하라. (이동동선 중요) (1) 운전자를 하차시키지 마라. 다) *** 바이러스 잔존시 일반소독약은 30분을 소독해야 사멸된다. 4) 구서작업, 전기안전관리작업 가) 지속하라. 나) 외부인은 샤워를 시키고 농장에서 지급하는 옷, 장화로 교체하라. 5) 농장주변 휀스 믿지 마라. 가) 쥐, 개, 고양이 등등 모두가 통과되는 휀스는 의미 없다. 나) 벽 같은 휀스가 필요하다. 나. 내부차단 1) 차량의 이동동선이 관리자의 이동동선과의 오염교차를 최소화 하라. 가) 차량이동후 소독하라. 나) 소독분무를 실시 혹은 생석회를 뿌려라. 2) 돈사내 출입시 장화를 교체하라. 가) 관리자의 장화를 항상 깨끗하게 관리하라. 3) 돈사별 이동로를 항상 깨끗하게 관리하라. 4) 돈사별 새의 출입을 통제하라. → 그물망 작업 5) 사료빈의 주변을 청결히 유지하라. → 새, 쥐 등 통제하라. 6) 사체 처리한 장소, 기구, 장갑은 소독을 강화하라. 7) 관리자의 청결도에 신경을 써라. 가) 깨끗한 장갑, 옷, 장화 ** 농장에서 의심되는 증상이 있으시면 신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번없이 1588-9060 / 4060 ) 한국양돈수의사회 임상수의사위원회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한돈협, ASF 살처분 작업 등 근로자 해당지역 인력 우선활용 정부 요청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참고사진] 일본의 돼지열병 바이러스 검출이 가장 많은 장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