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주요활동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ASF본부] 야생멧돼지 ASF 발생 및 대응상황(10월15일~21일, 총766건)

작성일 2020-10-23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중앙사고 10.22)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현황(보도참고자료).hwp

100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및 대응상황(1015~21)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지난 일주일간(1015~21) 멧돼지 시료 155(폐사체 시료 41, 포획개체 시료 114)을 검사한 결과,

 

경기도 연천군과 강원도 양구군에서 발견된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2건이 추가로 발생해 현재까지 총 766*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 (경기) 파주 98, 연천 287, 포천 18/ (강원) 철원 34, 화천 290, 춘천 3, 양구 17, 인제 15, 고성 4

 

이번에 양성이 확진된 폐사체는 광역울타리 내에서 환경부 수색팀과 주민에 의해 발견됐으며,

 

아프리카돼지열병 표준행동지침에 따라 시료채취 후 현장 소독과 함께 매몰 처리 등 적정하게 처리됐다.

 

환경부는 확진결과를 해당 시군 등 관계기관에 통보하고, 발견지점 및 주변 도로, 이동차량에 대한 소독을 강화하도록 요청했다. 또한, 발생지점 출입통제 및 주변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폐사체 수색과 포획을 실시할 것도 요청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1년간 변화한 대응여건 등을 반영하여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표준행동지침*(SOP)’을 개정한다.

*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대응 관련 관계기관별 역할 및 세부행동요령을 담은 지침(’19.5 제정)

 

주요 개정내용으로는 첫째,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개원에 따라 기존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하던 업무를 이관하는 등 기관별 업무를 재조정하고 발생 시군의 역할을 명확하게 한다.

 

둘째, 기존 감염·위험·집중사냥지역으로 구분했던 관리지역을 광역울타리를 기준으로 변경하여 발생·완충·차단지역으로 설정*하고 관리지역별로 차등 관리가 이뤄지도록 한다.

* ( 발생지역) 광역울타리 내 / (완충지역) 광역울타리 외 경계(5km 이내) / (차단지역) 완충지역 이남 영동고속도로 사이 지역

 

셋째, 사체처리원칙을 기존 노지 소각 및 매몰 처리 위주에서, 철저한 방역관리 하에 이동소각시설 또는 소각처리장에서 소각·열처리(렌더링)하도록 변경하고 이러한 처리가 어려운 경우 매몰 처리하도록 한다.

 

넷째, 엽견을 사용하지 않는 포획 등 포획 관련 용어를 새로이 정의하는 등 대응과정에서 실무적으로 필요한 사항들에 대한 보완도 대폭 이루어진다.

 

환경부는 개정 과정에서 관계기관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쳤으며, 특히, 지자체 담당자 등 현장일선의 의견과 대응경험이 중점적으로 반영되도록 개정을 추진한다.

 

개정된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표준행동지침의 자세한 내용은 환경부 누리집(me.go.kr)에서 1023일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지자체 담당자 등 관계기관에도 제공될 예정이다.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세부현황(10.2118시 기준)



< 지역별·월별 멧돼지 ASF 발생현황(~10.21) >

ASF 발생(건수)

파주

연천

포천

철원

화천

춘천

양구

인제

고성

‘19

10

5

7

-

6

-

-

-

-

-

18

11

6

2

-

7

-

-

-

-

-

15

12

8

10

-

4

-

-

-

-

-

22

소계

19

19

0

17

0

0

0

0

0

55

‘20

1

27

20

-

2

34

-

-

-

-

83

2

22

45

-

3

73

-

-

-

-

143

3

17

94

-

1

77

-

-

-

-

189

4

11

52

2

6

38

-

3

-

3

115

5

2

24

1

-

18

-

-

-

1

46

6

-

17

2

-

5

-

-

-

-

24

7

-

7

10

-

17

-

-

-

-

34

8

-

3

2

4

17

1

5

6

-

38

9

-

3

1

-

10

2

7

4

-

27

10

-

3

-

1

1

-

2

5

-

12

소계

79

268

18

17

290

3

17

15

4

711

총 계

98

287

18

34

290

3

17

15

4

766



< 멧돼지 ASF 검사현황(‘20.10.15~21) >

검사시료 건수

분석결과

합계

폐사체

포획

양성

음성

양성

음성

155

(폐사체 41, 포획 114)

155

2

39

0

114

발생지역

파주

7

0

0

0

7

연천

23

1

7

0

15

포천

23

0

4

0

19

철원

2

0

0

0

2

화천

13

0

9

0

4

춘천

27

0

2

0

25

양구

18

1

5

0

12

인제

17

0

5

0

12

고성

13

0

0

0

13

그 외 지역

12

0

7

0

5



< 멧돼지 ASF 발생건별 세부사항(‘20.10.15~21) >

구분

신고

확진

시도

시군구

주 소

종류

발견자

비고

765

10.13

10.15

경기

연천

신서면 대광리 산55

폐사체

주민

 

766

10.13

10.16

강원

양구

남면 적리 산149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출처: ASF수습본부 보도자료 2020. 10. 22.]

목록
다음게시물 [ASF본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23.)
이전게시물 [ASF본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추진상황 (2020.10.22.)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