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공지·공고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검역본부] 구제역 백신 국산화를 위한 성공 전략 논의

작성일 2025-07-18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2025-39 구제역 백신 국산화를 위한 성공 전략 논의(0708 구제역백신연구센터) (1).hwp

100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이하 검역본부)는 7월 3()부터 7 4()까지 이틀간 충남 천안 소노벨리조트에서 ‘2025년 구제역 백신 연구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국내 구제역 백신 연구의 최신 성과를 공유하고구제역 백신 국산화와 차세대 백신 플랫폼 개발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으며검역본부를 비롯해 관련 산업체학계연구기관 등 총 70여 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워크숍은 건국대학교 송창선 교수의 기조 강연 글로벌 동물용 백신 개발 현황과 미래 Disease-X 대응 전략을 시작으로 국가 주도 구제역 백신 기술 고도화민간 주도 구제역 백신 개발 현황차세대 백신 플랫폼 등 총 3개 세션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에서 구제역 발생 현황 분석사전 유입에 대비한 백신 대응 전략제조공정 기술을 포함한 구제역 불활화 백신 개발 현황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발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백신 개발에 참여한 국내 주요 산업체들(에프브이씨, 옵티팜나노백스씨티씨백)이 추진 중인 ▲ 불활화 구제역 백신 상업화 진행 현황▲ 곤충세포 발현시스템을 이용한 구제역 백신 개발 ▲ 대장균 발현 기술을 이용한 바이러스유사입자(VLP)* 백신 개발▲ 펩타이드 기반 백신 개발 현황을 공유하였고국내 구제역 백신의 상용화 가능성과 추진 일정을 논의했다.

바이러스유사입자(Virus-like particle; VLP):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졌으나 유전물질이 없어 감염이나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입자


마지막 세션에서는 차세대 백신 기술인 맞춤형 아쥬반트피내접종 기반의 면역전략일회증식성 항원 플랫폼 등이 기존 백신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혁신 기술로 소개됐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구제역 백신 국산화를 위한 다각적인 협력 방안을 점검하고학의 긴밀한 연계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또한▲ 불활화 백신의 국내 제조 시설 구축▲ 바이러스유사입자(VLP) 백신의 임상 데이터 확보▲ 펩타이드 기반 백신의 해외시장 공략 등이 향후 연구의 핵심 과제로 선정되었다.

검역본부 강동윤 동식물위생연구부장은 이번 워크숍은 구제역 백신 국산화를 위한 구체적 전략 수립과 기술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라고 하면서, “학 협력관계가 더욱 견고해진 만큼국산 구제역 백신의 실용화가 한층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목록
다음게시물 [축평원] 2025년 6월 축산물등급판정통계
이전게시물 [농진청] 온열질환 예방 대책 강화 “폭염 속 농업인 지킨다”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