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역본부] 민·관·학이 동물백신 연구의 종합적 방향성을 함께 모색! |
|||
---|---|---|---|
작성일 | 2025-05-23 | 작성자 | 관리자 |
첨부파일 | 다운로드 (일간지)2025-32 민·관·학이 동물백신 연구의 종합적 방향성을 함께 모색!(5.20 석간).hwp | ||
100 |
|||
민·관·학이 동물백신 연구의 종합적 방향성을 함께 모색!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민·관·학이 모인 「동물백신 연구 협의체」를 5.15.(목) 김천 검역본부에서 발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체는 현장 맞춤형 동물백신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검역본부 동식물위생연구부장을 위원장으로, 농식품부, 검역본부 내 동물백신 연구부서장과 민·관·학이 참여하여 동물백신 연구 개발 방향과 상호간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협의체 위원으로는 연구 성과가 뛰어난 수의과대학 교수(5명)와 주요 국내 백신 제조 연구 산업체(9개) 등 백신 분야 전문가를 위촉하였다. * 산업체: ㈜고려비엔피, ㈜녹십자수의약품, ㈜대성미생물, ㈜씨티씨백, ㈜나노백스(구㈜왓슨알앤디), ㈜옵티팜, ㈜중앙백신연구소, ㈜코미팜, ㈜FVC * 학계(교수): 건국대 송창선, 경북대 서민구, 서울대 최강석, 전북대 김원일, 충남대 이종수 검역본부의 기존 분야별 협의체는 주요 질병·축종별로 개별 질병 단위·개별 부서 단위에서 백신을 논의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위원장을 개별 부서장에서 연구부장으로 격상하여 동물백신 전반에 대한 총괄적 방향성을 논의하는 이번 협의체를 마련했다. 이번 1차 회의에서는 ㈜중앙백신연구소 원호근 연구소장의 발제를 바탕으로 “동물질병 대응 백신 연구 현황 및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에 대해 토론하였다. 동물백신 연구에 있어 총괄적인 사령탑(컨트롤타워)과 협치(거버넌스)의 필요성에 동감하고, 반려동물, 원헬스, 기후변화 대응 등 새로운 분야 또는 도전과제에 집중할 필요성, 그리고 mRNA 백신, 벡터 백신 신기술 도입 및 민간 지원 강화 등이 논의되었다. 김정희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이번 협의체가 민·관·학이 함께 백신 개발과 관련한 현장의 시급한 문제를 파악하여, 개발시기 설정, 공동연구 등을 통해 조속히 필요한 백신을 상용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는 효과적인 논의 체계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
목록 | |||
다음게시물 | 다음게시물이 없습니다. [검역본부] 구제역 정밀진단 교육을 통한 현장 진단인력 전문성 강화 | ||
---|---|---|---|
이전게시물 | 이전게시물이 없습니다. [한국농수산대학] 장기현장실습장 사고 수습과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