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최근이슈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보도] 농식품부, 성주 용신영농조합법인 현장 방문 및 간담회 개최

작성일 2025-08-14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사진 3.jpg
첨부파일 다운로드 사진 1.jpg
첨부파일 다운로드 사진 5.jpg

100


  


"가축분뇨 신속 처리, 저탄소 축산의 첫걸음"…한돈농가, 현장 중심 지원 촉구

 

한돈농가가 가축분뇨 문제 해결과 저탄소 축산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요청하고 나섰다.
김종구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지난 8월 13일(수), 경상북도 성주에 위치한 용신영농조합법인(대표 최재철)을 방문해 축산분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방문은 가축분뇨 정화 처리, 강제 송풍 방식의 퇴비화, 에너지화 등 축산농가의 실천 현황을 살펴보고,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이다.

 

방문지 중 하나인 용신영농조합법인은 2022년 정화시설을 도입해 가축분뇨의 신속한 처리를 실현하고 있다. 연간 약 30,445톤의 분뇨가 발생하는 가운데, 이 중 28,609톤을 정화해 방류하고 있어 지역 내 환경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분뇨 악취 및 민원 해소에 큰 도움이 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축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현장에서 축산농가들은 가축분뇨 정화시설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부 지원과 함께, 정화 후 방류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저탄소 실천에 나서고 있는 농가들에 대한 실질적 보상이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돈농가들은 특히 "정화 및 퇴비화 시설 도입은 비용 부담이 크고 관리도 까다롭다"며 "지속 가능한 실천이 가능하려면 현실적인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종구 실장은 “저탄소 축산 실현과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가축분뇨의 신속한 처리, 즉 정화와 빠른 퇴비화가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농가와 지자체가 기존의 퇴액비 방식에서 벗어나 정화와 에너지화 방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 방문은 한돈농가들이 겪는 어려움을 정부가 직접 듣고, 제도 개선에 반영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농가들은 이번 기회를 통해 정화 및 에너지화 방식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농가의 친환경 노력이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목록
다음게시물
이전게시물 [영상] 8월 찾아가는 월례브리핑 공지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