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최근이슈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더불어민주당과 6대 축산정책 공동 추진 협약 체결

작성일 2025-05-15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01 축단협 민주당 정책협약식_KakaoTalk_20250515_181142334_13.jpg
첨부파일 다운로드 [25.05.15] [축단협 보도자료]축단협, 대선 앞두고 더불어민주당과 정책협약 _수정.hwp

100

축산관련단체협의회,더불어민주당과 6대 축산정책 공동 추진 협약 체결
축종별 발전법·탄소중립·FTA 대응 등 지속가능한 축산업 기반 마련에 협력키로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손세희, 이하 축단협)와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농어민본부(본부장 서삼석 의원, 임미애 의원)515() 국회 에서 ‘6대 축산정책 과제공동 추진을 위한 정책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번 정책협약에는 축종별 발전법 제정 FTA 피해 대응 및 부채 경감 가축분뇨 자원화를 통한 탄소중립 축산발전기금 확충 축산농가 복지 및 인식 개선 축산 예산 비중 확대 등 축단협이 제시한 6대 핵심 축산정책 과제가 담겼다.
 
정책협약식에는 더불어민주당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어기구 위원장(충남 당진), 이병진 의원(경기 평택을, 중앙선대위 농어민본부 수석부본부장)을 비롯해,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손세희 회장(대한한돈협회장)을 비롯해 전국한우협회 민경천 회장, 대한양계협회 오세진 회장, 한국육계협회 김상근 회장, 한국양봉협회 박근호 회장, 한국사슴협회 이해곤 회장, 친환경축산협회 이덕선 회장 등 축산단체 대표자들이 대거 참석해 정책 협력 의지를 다졌다.
 
이날 축사를 통해 손세희 축단협 회장은 지금 축산업은 기후위기, 개방 압력, 고비용 구조 등 복합위기 속에서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이번 협약이 선언을 넘어 입법·예산·제도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손 회장은 국가 식량주권과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축산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하며, 오늘 이 정책협약은 생존을 위한 절박한 선택이자 미래를 위한 공동 실천의 시작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어기구 위원장은 축산업은 농업 전체 생산과 국민 식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정책 설계나 예산 편성에서는 늘 한발 뒤에 있던 것이 현실이라며, “오늘 협약에서 약속한 정책과제들이 단순한 선언에 머물지 않도록, 국회와 당 차원에서 입법·예산 과정까지 책임 있게 챙기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농어민본부 부위원장인 이병진 의원도 이번 협약은 63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주요 축산정책 공약을 축산업계와 함께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축산업의 당면 현안과 구조적 과제를 함께 풀어가겠다는 공동 의지의 표현이라고 밝히고, “FTA 대응, 전기요금 감면, 축산복지 향상 등 협약에 담긴 각 항목이 선대위의 공약 체계 안에서 실효성 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세부 과제별로 꼼꼼히 챙기겠다고 밝혔다.

목록
다음게시물
이전게시물 [축단협 성명] 농민 위한 농협 맞나? 사료값 인상 시도 철회하라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