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홍보/뉴스

배너광고

최근이슈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한돈협 보도자료] 「한돈산업 종합발전대책 수립 협의체」 공식 발족... 한돈농가‧정부, 한돈산업 지속가능 발전 위해 머리 맞댔다

작성일 2025-05-14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다운로드 [25.05.13] [한돈협 보도자료] 한돈농가‧정부, 한돈산업 지속가능 발전 위해 머리 맞댔다 「한돈산업 종합발전대책 수립 협의체」 공식 발족.hwp
첨부파일 다운로드 05 단체사진 250514_한돈산업발전대책협의체 발족식 (187).JPG
첨부파일 다운로드 한돈산업발전대책 협의체 발족식 사진 .zip

100

한돈농가정부, 한돈산업 지속가능 발전 위해 머리 맞댔다
한돈산업 종합발전대책 수립 협의체공식 발족

생산자전문가정부 참여 협의체 통해 종합 대책 마련 본격화
지난 2025513() JW메리어트호텔에서한돈산업 종합발전대책 수립 협의체발족식 및 제1차 회의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한돈산업의 위기 극복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한돈산업 종합발전대책 수립 협의체가 공식 출범했다.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와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513() 오후 4, JW메리어트호텔에서 협의체 발족식 및 제1차 회의를 개최하고, 정부, 생산자,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 구성을 통해 중장기 종합 발전 대책 수립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구조적 위기 극복과 지속가능한 한돈산업 전환 위한 협력체계
이번 협의체는 단순한 현안 대응을 넘어, 한돈산업의 구조적 전환과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 구조로 추진됐다.
한돈산업은 국내 농축산업 중 가장 높은 생산액(2023년 기준 9.11조 원)을 기록하며 핵심 식량산업으로 성장했지만, 최근 환경 규제, 질병 리스크, 인력난, 고령화, 동물복지 및 탄소중립 요구, 대체육 확대 등 복합적인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 같은 배경 속에서 대한한돈협회는 20248월부터 12월까지 건국대학교 김민경 교수를 책임연구원으로 하는 한돈산업 종합발전대책 수립 연구용역을 선제적으로 추진했다. 해당 연구는 향후 협의체 논의의 기초자료가 되며, 한돈산업의 중장기 전략 구상에 있어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준비를 토대로, 202536일 국회에서 열린 한돈산업 종합발전대책 토론회(주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어기구 위원장, 주관: 대한한돈협회)에서는 정부, 국회, 산업계 모두가지속 가능한 한돈산업 발전을 위한 종합대책 마련에 뜻을 모았고, 이후 협의체 구성이 공식화됐다.
 
 
5대 핵심 목표 중심으로 분과 구성
협의체는 지속 가능한 한돈산업을 위한 5대 핵심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분과별 주요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소비자 만족: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고 고품질 한돈의 가치를 보장하기 위해 품질인증제 도입 등 신뢰기반 구축 방안을 검토한다.
생산체계 혁신: 스마트 축사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시설 현대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를 절감하며, 물가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는 구조로 전환한다.
축산환경 개선: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친환경 농장 운영방식을 마련하고, 악취 및 가축분뇨 관리 방안을 모색한다.
경영 안정화: 외부 충격에 취약한 농가를 보호하기 위한 경영안정제도 및 돼지 거래 체계에 대해 논의한다.
동반 성장: 한돈산업의 경쟁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사료·수의·유통 등 전후방 산업과의 동반 성장 전략을 수립한다.
 
협의체는 위 과제를 중심으로 5개 분과를 구성해 월 1회 이상 정기 회의를 운영하여 한돈산업 발전 종합대책 수립에 반영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
 
 
발족식 개최민관 협력 통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의지 확인
이날 발족식에서는 손세희 대한한돈협회장과 안용덕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이 공동위원장 자격으로 인사말을 전하고, 각계 전문가에게 위원 위촉장을 수여했다.
이어 조진현 협회 전무가 협의체 운영 계획을 발표하고, 참석자들과 함께 분과별 논의안건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을 가졌다.
손세희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한돈산업은 국민 식생활과 물가 안정, 식량주권을 책임지는 핵심 산업이라며 이번 협의체를 통해 생산자 주도의 대안을 마련하고, 정부와 산업계가 함께 실행하는 실효성 있는 종합대책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강조했다.
안용덕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은 정부는 축산업의 지속가능성과 국민의 삶의 질을 함께 높이기 위해 정책 기반을 다져 나가고 있다이번 협의체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한돈산업의 체질 개선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실효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향후 매월 정례 회의를 통해 생산성 향상, 가축분뇨·환경 문제 해결, 한돈농가 경영안정, 품질인증제 등 다양한 과제를 심도 있게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
 
 
 
한돈산업 종합발전대책 수립 협의체는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국과 대한한돈협회가 공동으로 운영하며, 생산자단체, 학계, 연구기관, 소비자단체, 유통보험 등 약 30여 명의 민관 전문가들로 구성
 

목록
다음게시물 [축단협 성명] 농민 위한 농협 맞나? 사료값 인상 시도 철회하라
이전게시물 [축단협 성명] 축산농가 외면한 돼지고기 할당관세 강행, 즉각 철회하라!
전화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