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직 폐지 축산 행정 퇴보
방역국 신설 축산 규제 강화
축산 위상 제고 축산직 시급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손세희)가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직 부활을 정부에 건의키로 했다.

축단협은 지난 9일 제2축산회관에서 2024년도 제3차 임원 회의를 개최하고, 축산업 상생 발전 기금 사용 방안 및 건강한 국민 식생활 실천 모임 상호 업무 협약 체결(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정부 내 축산 업무 효율성 증대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일선 지자체에 축산직 부활 및 신설을 정부에 건의키로 했다.

2000년대초 농림축산식품부와 지방자치단체 내 축산직이 농업직과 통합된 이후 20년간 축산 전공 출신의 공직 진출이 꾸준히 감소하고 축산부서도 4개서 3개로 축소됐다. 그러나 방역 부서는 오히려 국(局) 단위로 개편, 이에 따라 정부의 축산 행정이 ‘진흥’에서 ‘규제’로 전환되면서 축산농가들의 불만이 높아졌다.

이날 축단협 임원들은 축산업의 발전과 지속 가능성, 위상 제고를 위해 축산직 부활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농축산부 및 지자체 내 축산직을 축산 전공자가 축산 업무를 담당하게 함으로써 타 전공자 대비 동물복지, 환경 문제 등 축산업의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성 강화를 기대할 수 있고 위기에 직면한 축산농가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도 기대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날 오세진 부회장(양계협회장)은 “정부의 축산직 필요성에 깊이 공감하며, 관철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공감했다. 또 허주형 감사(대한수의사회장)는 “전문성 강화 및 업무 효율 증대를 위해 축산직 부활 신설을 정부에 강력히 건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민경천 한우협회장은 “농업 정책실이 있는 만큼 축산 정책실도 신설돼야 하며, 협회가 주장하는 축산청도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강조했다.

이 같이 축단협은 축산직 부활을 위해 추후 개최될 전체 대표자회의에서 △농축산부 및 지자체 축산직 부활 및 신설 △축산 전공자 채용 확대 및 관련 부서 배치 △축산정책국 기능 및 인력 확대 △지자체 축산 담당 공무원 전문성 강화 방안 마련 등을 위한 연대 서명문을 작성키로 하고, 각 축산단체장의 서명이 담긴 공동 건의문을 정부에 제출해, 축산직 부활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한다는 방침이다.



출처 : 양돈타임스(http://www.pigtimes.co.kr)
http://www.pig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