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회원 서비스

배너광고

자유게시판

게시물 상세보기로 제목, 작성일, 작성자,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왜 2010-2011 구제역을 근절에 성공하지 못 했을까? 4

작성일 2021-12-05 작성자 한병우

100

감염성 질병이 전파되고 있는 상황에서 예방 접종을 실시한다는 것이 어떠한 효과가 있을까? 나이드신 분들은 경험하신분들 있을 것 같은데 1970년대에서 돈열에 대한 예방 접종 중단시까지 돈열에 대한 대책 중 하나가 돈열로 의심되는 증상이 보인다면 지체하지 말고 즉시 농장내 전개체에 대한 예방 접종을 실시함이 대책 중의 대책이었다. 돈열의 경우 심한 경우 야외 바이러스가 먼저 개체에 침투하느냐 아니면 백신 바이러스가 먼저냐에 따라 그 효과가 갈릴 정도로 예방 접종 효과가 갈릴 정도로 예방 접종 후 효과가 빨랐다. 
이와같은 효과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아직 잘 모르겠지만 그 효과는 항체가 검출되기 훨씬 이전부터 발휘됨을 경험적으로 알고있었다. 돈열의 경우는 그렇고 구제역의 경우는 어떨까? 오일 제품이 돼지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예방 접종 후 언제부터 효과를 발휘하는지는 구제역 대책을 수립하는 사람들의 관심사였다. 돼지에서 구제역 예방 접종 후 언제부터 그 효과가 발휘되는지에 대한 실험 결과는 1998년에 이미 발표되었다. 예방 접종 후 4일부터 공기전염되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방어됨을 보여 주었고 인위적 바이러스 감염에 대하여 예방 접종 7일 후부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제역 예방 접종 후 항체가 검출되기 시작하는 시점(보통 3주)보다 훨씬 빠른 시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구제역 발생 시 전략적으로 구제역 백신을 사용할 수 있는 바탕이 된 것이다. 대표적 예로 이미 언급한 2001년 네덜란드가 있다. 
그렇다고 구제역 예방 접종 했다고 질병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구제역 백신의 효과는 현재 코로나 백신과 마찬가지로 돼지나 소에서에서 감염을 예방하지는 못한다. 예방 접종 했더라도 구제역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감염될 수 있고 증상을 보일 수도 있고 또한 다른 개체에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도 있다. 코로나로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도 왜 예방 접종을 하는가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사람의 독감과 마찬가지로 구제역 예방 접종된 개체들은 구제역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때 증상이 가볍고 배설하는 바이러스 량을 크게 줄여주어 전염성이 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다만 청정화 즉 구제역을 근절시키고 예방 접종 없이 축산을 지속하려면 구제역의 임상증상이 더 이상 출현하지 않다라도 구제역 예방 접종 동물들을 모두 살처분하여야 한다. 증상이 없는 상태로 구제역 바이러스가 돌고 있을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이러한 청정화 원칙을 우리는 2000년도에 준수하지 않았다. 즉 2000년 구제역이 발생하자 발생 지역 중심으로 예방 접종을 대대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는 발생 농장 살처분이 종료되고 더 이상 증상이 출현하지 않게 되자 그냥 종료를 선언하고 예방 접종한 개체들을 사육하도록 조치하였다. 그리고 2002년에 다시 구제역이 발생하였으며 이때 어디에서 그 바이러스가 유래되었는지 혼란을 겪은 경험이 있다. 
이와같이 우리는 세계적으로 권장되고 있는 일반적인 지침들이 무시된 예를 또다시 접할 수 있는 것이다. 

목록
다음게시물 돈사 임대구합니다
이전게시물 왜 2010-2011 구제역을 근절에 성공하지 못 했을까? 3
전화걸기